본문 바로가기
생활경제정보

청년 문화예술패스 2025 관람비 15만원 지원

by 해별 2025. 3. 8.
반응형

문화체육관광부가 2025년 3월 6일부터 19세가 되는 청년들에게 최대 15만 원의 문화예술 지원금을 제공하는 ‘청년 문화예술패스’에 대한 정보입니다.

 

청년 문화예술패스

 

문화예술패스 신청하기

 

청년 문화예술패스 개요

  • 발급 일정: 2025년 3월 6일 오전 10시부터
  • 지원 대상: 2006년생(올해 19세) 청년, 소득 관계없이 신청 가능
  • 지원 금액: 최대 15만 원
  • 지원 항목: 국립 예술단체 및 공연시설 관람권 할인
  • 발급 기간: 2025년 3월 6일부터 5월 31일까지
  • 사용 기한: 2025년 12월 31일까지

 

청년 문화예술패스란?

  • 대상: 19세가 되는 2006년생 청년
  • 혜택: 국립 예술단체와 공연시설에서 제공하는 공연 및 전시 할인
  • 신청 방법: 공식 홈페이지 youthculturepass.or.kr에서 신청
  • 기타: 지역별로 선착순 발급

 

청년 문화예술패스 혜택(주요 공연 할인)

  • 국립극단: '만선(3.630)', '그의 어머니(4.219)'
  •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베르디, 레퀴엠(3.9)', '프로코피예프, 교향곡 5번(6.13)'
  • 국립중앙극장: '보허자: 허공을 걷는 자(3.13~20)', '정오의 음악회(3.20)'
  • 국립현대무용단: '인잇: 보이지 않는 것(3.21~23)'

 

지역별 할인 혜택

  • 대전예술의전당: '아침을 여는 클래식(3.11)'
  • 경기아트센터: '서가콘서트 <데미안>(3.15)', '마스터즈 시리즈II <투쟁, 극복, 환희>(4.19)'
  • 강원문화재단: '강원의 사계 <봄> 양인모&조나단 웨어(3.19)'
  • 하남문화재단: '대니 구 <프리마베라(Primavera)>(3.29)'

 

신청 방법

  • 신청 기간: 2025년 3월 6일부터 5월 31일까지
  • 신청처: youthculturepass.or.kr
  • 사용 가능 기간: 2025년 12월 31일까지
  • 참고: 6월 말까지 이용하지 않으면 지원금 환수

 

문화예술패스 신청하기

 

예매 및 관람 안내

  • 사용자 제한: 신청자 본인만 사용 가능
  • 동일 회차 예매 제한: 동일 회차의 공연이나 전시는 1매만 예매 가능
  • 지원금 소진 후: 지원금이 모두 소진되면 본인 부담금을 추가하여 예매 가능 (협력예매처 결제 방법 확인) 회차 변경 불가: 예매 후 회차 변경은 불가능, 변경 시 취소 후 재구매 필요
  • 취소 수수료 발생: 예매 취소 시 취소 수수료가 발생, 협력예매처 수수료 규정 참고
  • 예매 방법: 티켓은 신청 시 선택한 협력예매처의 누리집 또는 모바일 앱으로만 구매 가능 (현장 구매 불가) 본인 확인 필요: 티켓 수령 시 예매자 본인 확인을 위해 신분증, 학생증, 여권 등 증빙자료 지참 (대리 수령 불가) 잔액
  • 자동 반납: 사업 종료일인 2025년 12월 31일까지 사용하지 않은 잔액은 국고로 자동 반납 이용 시

 

 

청년 문화예술패스는 반드시 사용기간 내에 예매 및 사용을 완료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하며, 청년 문화예술패스를 활용하여 문화 혜택 누리시기 바랍니다.

반응형